본문 바로가기

Windows on ARM 이야기

ARM 기반 윈도우 입문 - ② 들어오기 전 체크해야할 점

반응형

오늘 ARM 기반 윈도우를 사용하기 전, 또는 사용하게 될 때 체크해야할 점, 주의점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사실 이것은 Project Volterra의 사용기를 통해서도 말했고요. 다른 분들의 유튜브나 블로그를 통해서도 많이 나오긴 하지만,

생각보다 많이 무시하고 넘어갑니다. 
 
글 쓰거나 카페에 댓글 남길때마다 답답하다고 느끼는 부분이 바로 이러한 점이죠.

이 글을 보시는 여러분께서는 제발 이러한 함정들에 빠지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이전 글에서 나왔던 내용들을 총집합해서 여러분께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0. 주의 대상들

최근 ARM 기반 윈도우 PC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분들이 구매를 고려하고 계실 텐데요, 뛰어난 휴대성, 높은 배터리 효율, 저발열과 저전력, 그리고 높은 AI 성능 등의 특징들은 분명히 매력적이죠.

 

하지만 구매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주의사항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ARM 기반 윈도우 PC 구매를 고려하는 분들을 위해 소프트웨어 호환성부터 드라이버 이슈까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본격적인 시작에 앞서, 다음 기기 사용자분들은 특히 주의 깊게 읽어주세요.

  • Copilot+PC들과 SQ1~SQ3 칩셋을 탑재한 ARM 기반 윈도우 PC
  • 1세대 ARM 기반 윈도우 PC
  • Raspberry Pi 3 이후 모델에 ARM 기반 윈도우를 설치하려는 사용자
  • Ampere 개발자 PC 등 일부 ARM AP 워크스테이션

1. 소프트웨어 호환성 :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

ARM 기반 윈도우의 앱 호환성은 분명히 꾸준히 개선되고 있고, 네이티브 앱들이 추가되면서 환경이 점점 좋아지고 있지만, 아직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모르시는 분들은 없겠죠.  이것에 대해서는 유튜브나 카페, 블로그 등에서 지겹게 들으셨을테지만, 생각보다 쉽게 넘겨버리는 분들이 아직도 많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점들을 주의해야 합니다. 
 

  • Windows 10 사용자: 32비트(x86) 앱 또는 ARM 네이티브 앱만 사용 가능합니다. (Windows 10 Insider Preview 사용 시 x64 앱의 일부 실행 가능하지만, 불안정한 면을 보인다.)

  • Windows 11 사용자: ARM64EC 및 Prism 기술로 x86/x64 앱 에뮬레이션 성능 향상되었지만, 모든 앱이 원활하게 작동하는 것은 아니다.
  • 고성능 앱: 3D/CAD 툴, 그래픽 편집 프로그램, 고사양 게임, 보안 프로그램 등은 드라이버 충돌, 커널 접근 제한 등으로 에뮬레이션 성능 저하 또는 실행 불가 현상 발생 가능성이 높다.

(설명 : ArchiCAD나 AutoCAD 등의 경우 ARM 기반 윈도우에서는 구동은 되지만, 원활한 작동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3D 그래픽 툴하면.. 떠올릴 수 있는 SketchUp도 마찬가지.)

  • 가상 머신: VMware, VirtualBox 등 가상 머신 앱은 ARM 기반 윈도우 미지원으로 설치 및 실행이 아예 불가능.
  • 안드로이드 : WSA의 지원 종료로 인해 안드로이드 앱 구동이 매우 어려워졌다.

우리나라 환경에선 듣보잡 앱(실상은 다르겠지만 말이죠..)들을 잘 안쓰는 특성 상.. 에뮬레이션으로 구동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보니 제 성능을 발휘하기는 어려울 수밖에 없죠.

2. 성능 및 배터리 성능 : 고성능 작업에는 한계가 있다.

ARM 기반 PC는 뛰어난 전성비를 자랑하지만, 고성능 작업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1번의 연장선상이기도 하고, 그것과 별개로 ARM 아키텍처의 특성이기도 합니다.

  • 전성비 중심: ARM 아키텍처는 고성능보다는 저전력, 저발열, 저소음이 강점이다. (태블릿 및 랩탑에 사용되는 이유)
  • 에뮬레이션 부하: 고성능 앱 실행 시 에뮬레이션으로 인한 성능 저하 및 배터리 소모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

    3D, 그래픽 툴 등의 경우를 예로 든다면. ArchiCAD나 AutoCAD 등의 경우 ARM 기반 윈도우에서는 구동은 되지만, 원활한 작동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3D 그래픽 툴하면.. 떠올릴 수 있는 SketchUp도 마찬가지죠. 당연히 이렇게 하게 되면 에뮬레이팅을 하는데 많은 자원을 쓰게 되니, 배터리 성능이 떨어질 수밖에 없게 됩니다.

  • 예외: DaVinci Resolve, Vegas Pro, Photoshop, Illustrator 등 일부 앱은 ARM 최적화로 원활한 작동이 가능합니다.

다시 말하지만, 이 ARM 기반 PC에 가끔 가다 고성능 앱을 돌리시려는 분들 계십니다.
제발 부탁인데.. 그런 짓(?) 하지 마세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ARM 기반은 전성비로 승부하는 제품이지, 절대 성능으로 승부하는 CPU가 결코, 절대로 아니란 점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3.  전산 환경 / 사이트 호환 이슈 : 국내 환경에서 불편할 수 있다.

이거 생각 안하고 불나방처럼 달려드시는 분들 생각보다 많습니다.
특히 정부나 교육청, 증권, 은행 등 기관과의 호환성 여부 생각 안 하시는 분들...
아마 이렇게 생각하셨을 겁니다. "AI PC니까 다 잘 될거다."라고 말이죠.
 
터무니 없는 착각이니 당장 집어치우시기 바라고, 확실하게 말씀드립니다.
 
우리나라의 전산 환경 AMD / 인텔 기반 PC 사용자들에게나 편리하고 친절하지, 그 외 CPU를 쓰는 분들, 특히 ARM 기반 PC를 사용하는 분들에게는 그다지 친절하지 않다는 것 말씀드립니다.
 

  • 국내 웹 환경: 일부 웹사이트 및 프로그램(ex. 교보문고 전자책 리더앱 등)은 ARM 기반 PC와 호환되지 않는 경우가 아직도 있습니다. 네이버 시리즈의 경우 DRM 등의 문제로 인해 아직도 원활한 작동이 되지 않고 있어요.
  • 보안 프로그램: 보안 프로그램 충돌로 인한 오류 또는 실행 불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ex. IBK기업은행 등)
  • 로그인 오류: 일부 웹사이트는 로그인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ex. 이투스 등)

착각하셔서는 안 되는 것이 퀄컴과 마소가 호환이 되게 노력한 것이지, 거꾸로 우리나라가 ARM 기반 환경을 가진 분들을 위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노력한 것이라고 보기는 매우 어렵다는 점입니다. 
 
또 하나 주의하실 점. 앱 호환 리스트 또는 사이트 목록을 보실 때는 반드시 로그인 자체가 안 되는 사이트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보셔야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 이거를 감안 안했다면, 네. 정말 X 되셨습니다.

4. 드라이버 호환성 이슈.

드라이버는 앱들과 달리, 에뮬레이션으로 움직이지 않습니다. 그럴 수가 없다가 더 정확하겠지만.

가상 머신 앱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보셔서 어느 정도 아셨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구체적으로.. 보통 사무실이나 집에서 사용하는 사무기기 등을 포함한 기기들에 대해 찾아보면, 그 기기들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드라이버의 대부분이 인텔 / AMD용이라는 사실에 직면하게 됩니다.
 
모든 드라이버는 해당 CPU의 아키텍처에 맞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ARM 기반 PC에서 해당 장비를 쓰려면, 당연히 ARM 기반 OS에 맞는 드라이버가 있어야 합니다. 문제는 그 드라이버의 수가 적다는 거죠.
 

 
간단한 이유입니다. 윈도우가 ARM을 지원해온 기간이 오픈 플랫폼인 리눅스보다 훨씬 짧기 때문이며, 리눅스는 개발자와 개발자 간 소통이 원활한 커뮤니티를 통해 드라이버의 문제를 잡아왔어요. 
 
그렇다보니 당장에 기존에 썼던 사무기기를 연결하면 리눅스는 알아서 드라이버를 잡아줍니다. (다는 아니지만)
ARM 기반 윈도우는 그렇지 못해 Windows Update를 사용하거나 그렇게 해도 안 잡히는 경우 호환 드라이버 등을 통해 수동으로 잡아줘야 하죠. (최신 기기들의 경우 Mopria 또는 Windows Update를 통해 설치 가능)
 

 
그렇다보니 대부분의 드라이버 호환성(그래픽 포함) 부분에 있어서는 리눅스가 윈도우보다 더 자유로울 수밖에 없죠.

5. 기기 확장 이슈.

지금까지 나온 대부분의 ARM 기반 Windows PC들이 가지고 있는 고질적 문제죠.

지금 현재 대부분의 Copilot+PC들은 추가 기기 확장은 USB4로만 가능합니다.

 

현재 USB4를 탑재한 인텔 / AMD PC들은 eGPU를 USB4 단자에 연결하여 게이밍을 하거나 그래픽 성능을 올리는 등의 활용이 기가능하지만, ARM 기반의 Windows PC들은 ARM64용 드라이버가 결핍되어 있기 때문에 그럴 수 있는 보장이 없죠.

 

더 나아가 리눅스에서도 그게 될지는 아직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다만 AMD와 NVIDIA의 ARM 기반 Windows 시장 진출 이후엔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그 때는 ARM 기반 Windows 드라이버의 추가 지원이 가능해질 수 있는 상황이 될 수 있기 때문에도 그렇지만, 데스크탑 PC 시장으로의 진출도 확정된 상태라 일반적인 PC의 규격 사용을 통한 확장성의 확보 등도 가능해질 수도 있으니까요.

6. 결어 : 신중하게 선택하고, 사항들을 고려하여 ARM 기반 윈도우 PC를 선택하라.

ARM 기반 윈도우 PC는 분명 매력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주의사항들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자신의 사용 환경과 필요에 맞춰 신중하게 선택하시고, 구매 전 다음 사항들을 반드시, 꼭, 여러 번 확인하시기 바래요. 

  • 필요한 성능 수준
  • 주요 사용 소프트웨어의 ARM 기반 윈도우 호환성
  • 주요 사용 웹사이트 및 전산 환경 호환성
  • 주변기기 드라이버 지원 여부
  • 기기 확장 여부 등

만일 이러한 점들을 숙지하셨다면, 이제 ARM 기반 Windows를 사용할 준비가 되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ARM 기반 Windows를 사용하는 방법과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들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조금 길게 가져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