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WIndows on ARM을 탑재한 미니 PC인 프로젝트 볼테라, Windows Dev kit 2023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간단하게 이 아이를 정의한다면, ARM 기반의 윈도우 앱들의 버전 변경 및 개발을 위해 만들어진, 맥 미니 포지션에 속한 개발자용 미니 PC라고 보면 맞을 것 같아요.
윈도우 진영에서 나온 맥 미니 포지션의 미니 PC라고 했지만, Dev Kit이라는 말이 붙은 것을 보면 짐작 가능하겠지만, 일반 소비자용은 결코 아니고, ARM 기반의 개발자를 위해 마소가 만든 미니 PC입니다. 디자인은 맥 미니와 비슷하긴 했지만, 그보다는 서피스를 연상하게 하는 심플한 디자인이 특징이라 볼 수 있겠네요. 실제로 UEFI 모드로 들어가보면 서피스의 것과 거의 비슷하더군요.
일단 이 아이의 스펙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PC 이름 : Project Volterra (Windows Dev Kit 2023)
CPU : Qualcomm Snapdragon 8cx Gen3 (윈도우 상에선 Snapdragon Compute Platform이라고 나와있지만, 실상은 8cx Gen 3 칩셋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
GPU : Qualcomm Adreno 8cx Gen 3
RAM : LPDDR4X-32GB
SSD : Kioxia KBG40ZNS512G BG4A (512GB) (요즘 서피스에 들어간 SSD와 같음.)
OS : Windows 11 Pro [AArch64]
확장성을 얘기한다면,
여기서 보면, 기가비트 이더넷을 지원하는 랜 단자 1개에, USB-A 3개에 USB-C 2개, 그리고 Mini DP 단자 1개가 있고요.
개발자용 미니 PC이니, LTE를 지원하지는 않지만, 무선 연결로서 Wi-Fi 6과 블루투스 5.1를 지원합니다. 아쉽게도 요즘의 서피스 모델들이나 스마트폰과 비슷하게 3.5mm 단자가 없으니, 유선 이어폰을 연결해 쓰려면 USB-C to 3.5mm 어댑터가 필수 불가결해집니다 ㅠㅠ
여기서 모니터를 연결하는 Mini DP 단자 1개와 C타입 단자 2개 덕에, 볼테라는 모니터를 최대 3대까지 연결할 수 있습니다. 다만 4K 모니터 연결은 USB-C 단자를 이용한 2개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지금 현재 Windows Dev Kit 2023, 볼테라를 구하는 것은 당연히 우리나라에서 구하기는 매우 힘들고, 미국 마소의 Microsoft Store 공식 사이트(https://www.microsoft.com/en-us/d/windows-dev-kit-2023/94k0p67w7581?activetab=pivot:overviewtab)에서 주문이 가능한데, 현 시점에서의 가격은 599.99달러, 원화로 약 80만원에 해당하는 가격인데, 관세와 운송료를 더 한다면 거의 100만원 가까운 금액이 나오겠죠... ㅎㄷㄷ...

일단, 얘는 개발자용 개발 키트로는 광고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개발자 인증이 별도로 필요하진 않은데다, 사무용 PC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사양을 갖고 있고요. 의외로 미니 PC 매니아들도 많기에, 인테리어, 데스크테리어로도 좋을 수 있을 듯 해요. 어떤 분들은 HTPC로 쓰시는 분들도 있다고 하더군요.
단, 얘를 쓰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념해야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3가지 말씀드리면..
1. 오디오 단자가 없다.
이건 요즘 나오는 서피스 모델들이나 스마트폰과 거의 비슷한데, 이러한 점 때문에 마이크나 이어폰을 연결해서 쓰려면 외장형 사운드 카드나 USB-C to 3.5mm 어댑터 단자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거.
2. 모니터 연결과 UEFI 메뉴 접근
아까 말했다시피, 모니터 연결은 두 가지, Mini DP와 USB-C로 가능하다고 했는데요.
바이오스에 해당하는 UEFI 메뉴 부팅이 가능한 단자는 Mini DP 뿐이고, USB-C로 연결한 경우엔 부팅 끝난 후에 화면을 볼 수 있답니다.
그럼 UEFI 메뉴 접근은 어떻게 하느냐, Mini DP 어댑터로 모니터를 연결했을 때, 분홍색으로 표시한 전원 버튼과 조그만 원형 버튼을 눌러 부팅하면 UEFI 메뉴로 부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건 아주 큰 문제가 생겼을 때의 경우니, 일반적인 경우에선 문제가 되지 않겠죠.
그러니 진짜 문제는 그 다음이겠습니다.
3. 앱, 드라이버 호환성 문제.
이건 누구나 다 알고는 있지만, 제일 어렵고 큰 문제입니다. ARM 윈도우에 대해 조금이라도 들어보신 분들은 CPU 아키텍쳐 문제 때문에 앱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은 다 알 겁니다. 에뮬레이션으로 구동할 수 있다고는 해도 말이죠.
그러나 ARM 윈도우 PC의 드라이버는 그렇게 융통성이 있지 않아서, 아키텍쳐를 반드시 따집니다.
드라이버가 반드시 ARM64용이어야 쓸 수 있다. 즉, 기존의 구형 장비들은 호환이 안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소리죠.
이 점들에 대해 제대로 알고 계시다면 ARM 윈도우의 세계에 들어올 준비가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 글에서 볼테라 이야기를 이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Windows on ARM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M 기반 윈도우에서 타블렛 사용 가능 여부 (타블렛 사용이 가능한가?) (0) | 2025.03.08 |
---|---|
벨킨 INC007 트리플 디스플레이 독: ARM 기반 윈도우 PC와의 호환성 테스트 및 사용 후기 (0) | 2025.03.08 |
ARM 기반 PC와 x86-64 (AMD, 인텔) 기반 PC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2) | 2024.06.24 |
Windows on ARM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앱들 - 볼테라 잘 사용하기 ① 워드, 오피스 (DTP 제외) (0) | 2024.02.15 |
프로젝트 볼테라 (Project Volterra - Windows Dev Kit 2023)에 대해.. ② ARM 기반의 윈도우 사용 시 주의점! (0) | 2024.02.13 |